제일 먼저 알아야 할 점은
통밀(Vollkorn)이란
밀가루의 종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상태를 말하는 것!!!!
흔히 우리가 말하는 통밀빵은
일반밀의 통밀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호밀도 밀의 상태와 통밀의 상태가 있어서
호밀빵을 만들 때는 식감의 차이를 위해
호밀과 통밀 호밀의 배합을 달리하기도 하는 것 같다
여기서 기록하는 통밀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밀가루의 통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겠다는 안내이다
맛과 질감, 영양성분에서 차이가 나기에
어떤 빵을 선택할지는
개인의 취향과 건강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이어트 빵 식재료로 유명한
통밀과 호밀의 차이를 알아보자

통밀빵 (whole wheat bread) 이란?
밀을 도정하는 단계에서 껍질만 벗겨낸 상태로
쌀에 비유하자면 현미의 상태로 보면 되겠다
그런 통밀을 사용하여 만드는 빵으로
일반밀가루보다 덜 벗겨냈으므로
밀의 껍질과 배아 등으로 인해
더 많은 영양소를 포함한다
밀가루보다 섬유질 비타민 B군 미네랄이 풍부하며
소화를 돕는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변비예방에 좋고 포만감도 오래 유지된다
GI 혈당지수는 중간 정도이며
(정제된 일반밀가루는
식이섬유가 낮고 GI 지수가 높다)
일반밀가루 빵에 비해 소화가 잘 안 되는 단점이 있다

호밀빵(rye bread) 이란?
밀보다 뿌리가 2~3배 깊이 내려
척박한 지역이나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유럽 북부(러시아 독일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등)의 추운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호밀자체가 글루텐이 적고
북유럽은 추워서 발효가 잘 안 되므로
단단한 빵을 만들게 된 것 같다
밀과 품종자체가 다른
호밀을 사용하여 만드는 빵으로
통밀보다 식이섬유 함량이 더 높아
혈당을 천천히 올려주는 저혈당지수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에 흡수되는 속도가 통밀보다 느려
GI 지수 (혈당지수)가 55 정도로 낮아
당뇨 관리하는 분이나
다이어트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미네랄 (마그네슘 철분 셀레늄 등)이나 식이섬유가
통밀보다 2배 정도 더 높아서
장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준다
포만감도 오래간다
글루텐 함량이 낮아서 빵이 무겁고 밀도가 높다
처음엔 거칠게 느껴질 수 있어 먹기 힘들 수 있으나
일반밀에 비해 훨씬 소화가 편하고
글루텐 성분도 세칼린이라고
일반밀가루와는 다른 성분으로
글루텐 알레르기가 있는 분에게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암환자분들이 조금은 안심하고 찾기도 한다고..
통밀빵과 호밀빵의 차이점
호밀빵은 글루텐이 적어서 빵에 크랙이 많이 생긴다
통밀빵은 크랙(칼집)을 넣어야 한다
호밀빵이 통밀빵보다 저장성이 더 좋다고 한다
호밀에 들어있는 점액질 물질인 펜토산 덕분에
수분을 많이 흡수하여 함유하고 있어
빨리 건조해지지 않는다
호밀빵이 통밀빵 보다 소화가 더 잘된다고 한다
밀보다 단단하여 풍미가 있고
섬유질이 풍부하며
베타글루칸이라는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어
혈당 조절에 유리하고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고
위장건강에 좋은 영향을 준다
호밀인자가 있어서
혈당이나 체중감소에 큰 효과가 있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20250222
시작은 나의 궁금증 해결을 위함^^
정제하지 않은 통곡물빵이 다이어트에 좋다는데
호밀> 통밀> 일반밀가루 의
순서로 이해하면 될 듯하다
일반 곡물의 상태를 갈게 되면
먹었을 때 혈당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빨라지고
GI지수가 높아지며
이 모든 혈당을 다 에너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잉여혈당이 남게 되는데
이것이 체지방이 되고 인슐린을 건드려
불안전한 몸을 만들고 ㅠㅠㅠㅠ
그래서 나는 오늘도 헬스장으로 간다
빵을 좋아하는데 즐기지 못하는
나 같은 사람은
오늘부터 호밀빵? ㅎㅎㅎㅎ
잠깐상식
세칼린(secalin)
호밀의 주된 저장 단백질.
알코올에 녹는 프롤라민의 하나이다.
'사심가득! 내가 궁금한 것 위주로 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힝 ㅠㅠ 캐리어 택배 보내기 너무 힘들어 (6) | 2025.02.28 |
---|---|
돈받으면서 손자 손녀 양육하기 (2) | 2025.02.26 |
바스크식(?) 치즈 케이크가 뭐지? (0) | 2025.02.25 |
건강한 사람만의 특권 “헌혈” (4) | 2025.02.23 |
다시 "오일 풀링 ( Oil - Pulling )" !! (2) | 2025.02.14 |